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자도자도 피곤하다면 이것을 의심하자! 수면 무호흡증 진단하기

by Woo쌤 2020. 7. 22.
반응형

 

 

자도자도 피곤하다면 이것을 의심하자! 수면 무호흡증 진단하기

 

 

사람마다 잠버릇은 다릅니다. 코를 골거나 이를 갈거나 움크리고 자는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이중에서 수면 중 장애가 있다고 단정짓긴 어렵습니다. 만약 본인이 충분한 시간에 편하게 잠을 자더라도 피곤함을 자주 느낀다면 '수면 무호흡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수면 중에 일어나는 증상이기에 스스로 인지하기 어려워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고혈압, 심근경색, 부정맥 등 심혈관질환까지 이어질 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수면 무호흡증이 무엇인지, 원인과 치료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면 무호흡증?

 

 

수면 무호흡증은 자는 중 호흡이 잠시 멈추는 것입니다. 이때 숨이 막혀 컥컥대는 증상을 동반합니다. 수면 중에 혀뿌리가 있는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10초 이상 숨이 멈추는 수면 무호흡이나 숨을 얕게 쉬는 수면저호흡 증상이 한 시간 동안 5회 이상 나타나면 수면 무호흡증에 해당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 사이에 수면 무호흡증 환자가 70%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2014년 26,655명 → 2018년 45,067명). 특히 2018년에는 남자 환자가 36,493명으로 여자 환자의 4배 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은 여성보다는 남성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한 비만, 노인 인구의 증가, 습관적인 음주와 흡연, 스트레스 등이 증가의 원인입니다. 잠자는 중에 혀뿌리가 늘어져서 기도를 막으면 이를 신경 센서가 감지하여 뇌를 깨워 다시 숨을 쉬도록 하고, 이후 다시 잠들면 다시 막히는 것이 잠자는 동안 반복합니다. 잠을 자는 동안에도 몸은 계속해서 일을 하는 상태인 것입니다. 비만으로 기도가 더욱 좁아지거나, 나이가 들어 혀뿌리 근육이 노화되어 더욱 처지거나 폐경하면서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근육 탄력이 줄어들거나 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턱을 가지거나 등 다양한 경우에 무호흡증이 발생합니다.

 

 

 

 

수면 무호흡증이 가져오는 무서움

 

 

수면 무호흡증이 있으면 뇌가 계속 깨어있기 때문에 충분한 숙면을 취하지 못합니다. 때문에 낮에는 피로감을 느끼고 졸음을 유발하고 업무 및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깁니다. 더불어 불규칙한 호흡이 뇌의 산소 공급을 방해하고, 혈중 산소포화도를 떨어뜨립니다. 심장 박동 수와 혈당이 높아져 다른 질환에 걸릴 확률을 높입니다. 심한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고혈압, 심근경색, 부정맥 등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발생 위험이 3배 이상 증가합니다. 또한 두통, 암, 치매 발생률도 증가하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수면 무호흡증 치료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하기 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수면다다원검사를 실시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찾아야 합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장애 진단을 위한 표준검사로 센서를 부착해 수면 중 뇌파·호흡·산소포화도·심전도·움직임 등의 다양한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검사입니다. 수면장애의 증세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증상에 따른 합병증에 대해 다양한 치료를 제공합니다.

 

성인의 수면 무호흡증은 대부분 구조적 문제보다는 잠잘 때만 기도가 막히는 기능적 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때문에 지속적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바람을 넣어주어 기도의 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양압기 치료를 권장합니다.

 

 

 

 

수면 무호흡증 예방하기

 

 

수면 무호흡증 예방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과 최소 6시간 이상의 수면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체중이 과하지 않게 관리하고 불규칙하지 않는 충분한 수면 시간을 확보해야합니다. 술과 담배는 수면 중에 기도가 더 늘어지도록 만들기 때 문에 줄이거나 끊는 것이 필요합니다. 습관적으로 코를 골거나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수면제를 복용하면 숨이 막혀도 뇌가 깨어나지 못할 수 있어 증상을 악화할 수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증 환자들은 기도가 꺾여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낮은 베개 사용을 권장합니다.

 

 

 

 

모든 병들을 예방하기위해 나오는 내용이 있습니다. 꾸준한 운동, 규칙적인 생활, 충분한 영양소 섭취, 과식하지 않고, 술담배를 멀리하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충분한 수면에도 피로감이 항상 이다면 수면 무호흡증을 의심해보면 좋겠습니다.

반응형